컴퓨터를 오래 쓰다 보면 점점 느려진다고 느낄 때가 있습니다. 특히 부팅이 느려지거나, 아무 작업도 하지 않았는데도 CPU 점유율이 높게 유지되는 경우가 많죠. 이럴 때 가장 먼저 점검해 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서비스 관리’입니다. 윈도우에는 다양한 백그라운드 서비스가 실행되고 있는데, 이 중 일부는 꼭 필요하지 않거나, 사용하지 않는 기능이 대부분인 경우도 있습니다.
서비스 관리란, 윈도우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는 각종 기능들을 개별적으로 켜거나 끌 수 있는 설정입니다. 기본적으로는 시스템 유지와 보안에 필요한 것들이지만, 사용자에 따라 굳이 실행할 필요 없는 항목도 많기 때문에 이를 적절히 비활성화하면 시스템 부하를 줄이고 속도를 높이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됩니다.
윈도우에서 서비스를 확인하려면, 먼저 시작 메뉴에 ‘services.msc’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릅니다. 서비스 창이 열리면, 현재 실행 중인 서비스 목록과 상태, 시작 유형 등이 표시됩니다. 여기서 시작 유형이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실제로 사용하지 않는 서비스가 있다면 ‘수동’이나 ‘사용 안 함’으로 변경해 시스템 리소스를 줄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Print Spooler’는 프린터 관련 서비스인데, 프린터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환경이라면 굳이 켜둘 필요가 없습니다. 또한 ‘Remote Registry’나 ‘Xbox Live 관련 서비스’들도 대부분의 일반 사용자에게는 불필요한 항목입니다. 이런 항목들을 하나씩 점검하고 필요한 것만 유지하면, 윈도우가 불필요한 작업에 자원을 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항목을 더블 클릭하면 속성 창이 열리며, 여기서 ‘시작 유형’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단, 모든 서비스를 무작정 끄는 것은 오히려 오류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기능이나 목적을 모르는 항목은 먼저 검색해 보거나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공식적으로 설명한 목록을 참고해서 신중히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서비스를 정리한 후에는 시스템 재부팅을 통해 적용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CPU 점유율이나 부팅 속도가 눈에 띄게 향상되는 경우도 있으며, 특히 구형 노트북이나 하드디스크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는 효과가 더욱 확실히 나타납니다.
'문제 해결' 카테고리의 다른 글
EA Anticheat 실행 오류 해결법 총정리 (3) | 2025.06.12 |
---|---|
USB 포맷 불가 오류 해결 방법 (0) | 2025.06.11 |
PC 방화벽 설정 방법과 예외 추가하는 법 (0) | 2025.06.09 |
노트북 화면 밝기 조절이 안 될 때 (0) | 2025.06.09 |
USB가 인식되지 않을 때, 가장 빠른 해결 방법 (1) | 2025.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