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를 초기화하거나 부팅 순서를 바꿀 일이 생기면 반드시 BIOS나 UEFI 설정에 진입해야 합니다. 하지만, 막상 부팅 도중 어떤 키를 눌러야 하는지 모르거나, 키 입력 타이밍을 놓쳐서 재부팅을 반복한 경험이 한 번쯤은 있을 겁니다. BIOS 진입은 어렵지 않지만, 제조사마다 단축키가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정보를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를 켜자마자 제조사 로고가 뜨는 순간, 특정 키를 반복해서 눌러야 BIOS로 진입할 수 있습니다. 이때 사용하는 키는 브랜드별로 다르고, 같은 브랜드라도 모델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자주 사용하는 PC 제조사별 기본 진입 키를 미리 알아두면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제조사 기준으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브랜드 | BIOS 진입 키 | 추가 설명 |
델(DELL) | F2 또는 F12 | 대부분 F2, 모델에 따라 F2 또는 F12 키 |
레노버(Lenovo) | F2 또는 Fn+F2 | 구형은 F1, 신형은 F2가 일반적 노트북 모델에 따라 Fn+F2를 눌러야 할 수 있음 일부 씽크패드 시리즈는 Enter 키 후 F1 |
HP | F10 | 부팅 직후 HP 로고가 보일 때 F10 키 (로고가 뜰 때 연속해서 눌러야 인식률이 높음) |
아수스(ASUS) | F2 또는 Delete | 로고 화면이 뜨면 F2 또는 Delete 연타 |
MSI | Delete | MSI 로고가 뜨기 시작하면 Delete 연타 |
기가바이트(Gigabyte) | Delete | 전원 직후 Delete 연타 몇몇 구형 모델은 F12로 부팅 장치 선택을 먼저 하고 진입하는 방식도 있음 |
에이서(ACER) | F2 또는 Delete | 로고가 보이기 전 F2 또는 Delete (로고 화면이 짧게 나타나므로 빠른 반응이 필요함) |
삼성(SAMSUNG) | F2 또는 F10 | 부팅 시 삼성 로고가 나올 때 F2 연타 부트 매니저와 BIOS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도 있음 |
LG | F2 또는 F10 | 부팅 시 LG 로고가 나올 때 F2 연타 |
한성 | Delete | 전원을 켜자마자 Delete 키 반복 입력 |
인텔 NUC | F2 | F2 키를 몇 초 간격으로 반복 입력 |
Microsoft Surface | 전원 + 음량 높이기 버튼 | 전원 버튼과 음량 높이기 버튼을 동시에 길게 누름 |
이처럼 브랜드에 따라 BIOS 진입 키가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처음부터 본인의 기기에 맞는 단축키를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로고가 매우 짧게 표시되거나, SSD 부팅이 빠른 시스템에서는 전원 버튼을 누르자마자 곧바로 해당 키를 반복해서 누르는 것이 팁입니다.
BIOS 설정을 변경하면 시스템 동작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설정 전에는 필요한 부분만 조정하고, 적용 후에는 저장 및 종료를 정확히 선택해야 합니다. 설정을 잘못 건드렸을 경우, 설정 초기화 메뉴를 통해 기본값으로 복원할 수도 있습니다.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로그인 암호 설정·변경 방법 (윈도우 10&11 가이드) (1) | 2025.06.11 |
---|---|
노트북 성능 모드 전환하는 가장 쉬운 방법 (1) | 2025.06.11 |
윈도우10·11에서 PC 이름 바꾸는 가장 쉬운 방법 (0) | 2025.06.09 |
윈도우 터치패드 감도 조절 방법, 민감도 낮추기 가이드 (0) | 2025.06.06 |
블루투스 끊김 해결 방법 – 안정적인 무선 연결을 위한 팁&가이드 (0) | 2025.05.13 |